엔진오일 교체 주기에 대한 논의와 사용오일과 신규오일의 엔진 보호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포드의 논문에서는 사용오일이 신규오일보다 엔진 보호에 더 효과적이라는 내용이 소개되었지만, 이 결과를 일반화해선 안 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사용오일과 신규오일을 3,000km 동안 테스트한 결과, 사용오일은 엔진 보호 효과가 더 높았지만, 이는 특정 조건에서만 성립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frequency of engine oil changes and the debate over the engine protection effectiveness between used oil and fresh oil. A Ford paper suggests that used oil provides better engine protection than fresh oil,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generalizing this conclusion. The test involved running used and fresh oil for 3,000 km, with the used oil showing better engine protection. However, it is emphasized that these results should not be universally applied.
트라이보 필름 형성에 관한 실험 결과도 살펴봤습니다. 열분해 과정에서 금속 성분이 트라이보 필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사용오일의 경우 이 현상이 신규오일보다 더 느리게 일어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 실험 결과를 전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며, 엔진 상태와 주행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경고가 있습니다.
The experiment also examined the formation of tribo-films. During the process of thermal decomposition, metal particles create a tribo-film, and the used oil showed a slower formation of this film compared to fresh oil. However, caution is advised against generaliz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as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engine's condition and driving conditions.
마지막으로, 금속 축적 측정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3,000, 5,000, 8,000 km 주행 후 발생한 금속 양을 측정한 결과, 초기에 급증하다가 나중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사용오일은 지속적으로 마모를 감소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오일을 추가하더라도 트라이보 필름이 빠르게 형성되지 않아 마모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Lastly, metal accumulation measurements were conducted, showing an initial increase followed by a decrease after 3,000, 5,000, and 8,000 km of driving. Used oil demonstrated a consistent reduction in wear, and even with the addition of fresh oil, rapid tribo-film formation did not lead to significant wear. It is emphasiz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and interpretations may vary from the experimental settings.